맨위로가기

서양 밀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양 밀교는 2세기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비밀스러운 가르침을 의미하며, 다양한 정의와 역사적 맥락을 지닌다.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내부'와 '외부' 가르침을 구분하는 데서 시작하여, 17세기 후반에는 유럽의 여러 사상들을 묶어 '서양 밀교'라는 개념이 확립되었다. 영지주의, 헤르메스주의, 신플라톤주의와 같은 고대 후기의 사상에서부터 중세,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계몽주의, 현대 오컬트 운동, 그리고 뉴에이지 운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학술 연구는 20세기 초 워버그 연구소를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에믹과 에틱의 구분, 다양한 정의, 대중문화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양의 밀교 - 백마법
    백마법은 선한 의도를 가진 마법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사상과 종교적 영향을 받아 발전해 왔으며, 르네상스 시대 자연 마법 논의를 통해 구체화되었고, 현대에는 시술자 의도에 따라 구분되거나 여성적 개념과 연관되기도 한다.
  • 서양의 밀교 - 전통주의 영원철학
  • 밀교 - 연금술
    연금술은 아랍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이집트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금속 변환 및 불로장생 추구와 정신적 성장을 목표로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에서 발전해 온 학문으로, 현대 화학 발전과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주었다.
  • 밀교 - 흑태양
    흑태양은 12개의 시그 룬으로 이루어진 검은 원반 형태의 상징으로, 나치 친위대의 중심지였던 베벨스부르크 성의 모자이크에서 발견되었으나, 현재는 신나치, 극우, 백인 우월주의자들의 상징으로 사용되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 신비주의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는 14세기 독일의 도미니크 수도회 신학자이자 신비주의자로, "신성의 무(無)" 개념을 중심으로 신과 인간의 합일과 자아 초월을 강조하는 독특한 신학 사상으로 이단 논란에 휩싸였으나, 후대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평가되고 있다.
  • 신비주의 - 독일 신비주의
    독일 신비주의는 부정 신학, 평신도 자각, 범신론적 신을 강조하며 이성 중시, 자기 수양, 독일어 사용을 선호하는 사상 경향으로, 종교 개혁과 독일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서양 밀교
개요
엘레나 페트로브나 블라바츠키와 폴 드 미르빌
엘레나 페트로브나 블라바츠키와 폴 드 미르빌
분야종교, 철학, 신화, 마법, 점성술, 연금술
기원헬레니즘, 고대 이집트 종교, 그리스도교, 유대교, 르네상스 마법, 계몽주의
주요 인물피타고라스
플라톤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
엘레나 페트로브나 블라바츠키
르네 Guénon
율리우스 에볼라
알레이스터 크롤리
루돌프 슈타이너
카를 융
미르체아 엘리아데
주요 사상영지주의
헤르메스주의
신플라톤주의
카발라
기독교 신비주의
연금술
점성술
마법
신지학
인간학
전통주의
서양 신비주의
정의
정의서양 문화권에서 발전한 다양한 관련 사상 및 운동의 범위
주요 특징
주요 특징대응
살아있는 자연
상상력
변환의 경험
전승
관련 용어
관련 용어비전통
신비주의
비의적
비밀
오컬트

2. 용어의 기원과 철학적 배경

"비밀스러운"이라는 개념은 2세기 고대 그리스어 형용사 esôterikós|에소테리코스grc ("내부 집단에 속하는")에서 유래하였다. 이 단어는 루키아노스의 풍자에서 처음 등장하며, 이후 서양 사상에서 비밀스러운 가르침이나 지식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15세기와 16세기에는 라틴어에서 ''exotericus''와 ''esotericus'' (''internus''와 ''externus''와 함께)의 구분이 고대 철학에 대한 학문적 담론에서 흔히 사용되었다. ''doctrina vulgaris''와 ''doctrina arcana''의 범주는 케임브리지 플라톤주의자들 사이에서 발견된다. 아마도 영어에서는 처음으로 토마스 스탠리가 1655년과 1660년 사이에 피타고라스 학파의 ''exoterick''와 ''esoterick''를 언급했을 것이다.

존 톨랜드는 1720년에 오늘날 "비밀스러운 구분"이라고 불리는 것이 서양과 동양 모두에서 존재하는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말했다. "비밀주의"라는 명사에 관해서는, 아마도 독일어로 ''Esoterismus''가 처음 언급된 것은 요한 게오르크 하만의 1779년 작품에서였고, 요한 고트프리트 아이히호른의 1790년 작품에서 ''Esoterik''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esoterisch''라는 단어는 이미 요한 야콥 브루커의 작품에서 발견되듯이 최소한 1731-1736년부터 존재했다.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는 '비전적(esoteric)'과 '외전적(exoteric)'이라는 용어가 비밀 유지 여부뿐만 아니라, 연구 및 교육 절차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비전적 가르침은 철학 학파 내부에서 소수의 제자들에게만 전달되었고, 외전적 가르침은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스트라보와 플루타르코스의 보고에 따르면, 리케이온의 학교 텍스트는 내부적으로 유통되었고, 그 출판은 외전적 텍스트보다 더 통제되었으며, 이러한 "비전적" 텍스트는 로도스의 안드로니코스의 노력으로 재발견되고 편집되었다고 한다.[11][12]

헤겔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현대 해석학에서 이러한 구별에 대한 분석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 외부 대상을 표현하는 데는 많은 것이 필요하지 않지만, 아이디어를 전달하려면 능력이 있어야 하며, 이것은 항상 비전적인 것으로 남아있어, 철학자들이 말하는 것에는 순전히 외전적인 것이 없었다.[14]

절대와 신화 및 입문 의례에 나타나는 진리에 대한 비전을 드러낸다고 여겨지는 담론의 전통에서 출발하여, 플라톤과 그의 철학은 서양의 비전주의에 대한 인식을 시작했으며, 코쿠 폰 슈트크라드는 "비전적 존재론과 인류학은 플라톤 철학 없이는 거의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할 정도였다.[15] 그의 대화에서 그는 종교적 비밀주의를 언급하는 표현을 사용한다.[16] (예를 들어, ἀπορρήτων|아포르헤톤grc, 비밀 공개 금지를 언급하는 고대 그리스 표현 중 하나[17]). ''테아이테토스'' 152c에는 이러한 은폐 전략의 예가 있다.

> 그렇다면, 프로타고라스는 우리와 같은 세속적인 사람들을 위해 이 모호한 말을 던져놓았지만, 진실을 자신의 제자들에게 공개될 비밀 교리(ἐν ἀπορρήτῳ τὴν ἀλήθειαν|엔 아포르헤토 텐 알레테이안grc)로 간직한 매우 독창적인 사람이었을까?[16]

아마도 "외토코스/에소토코스" 이분법에 기초하여, 헬레니즘 세계는 다양한 조류, 예를 들어 교부학의 비판에 의해 자극받아 외전적/비전적 구분을 발전시켰다.[19] 루키아노스, 갈레노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의 예에 따르면, 당시 철학자들 사이에서는 비밀 저술과 가르침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었다. 영지주의의 동시대 환경에서도 병행하는 비밀주의와 제한된 엘리트가 발견되었다.[20] 나중에, 이암블리코스는 자신의 정의(현대적인 것에 가까움)를 제시했는데, 그는 고대 피타고라스 학파를 "외전적" 수학자 또는 "비전적" 아쿠스마티코이로 분류했으며, 후자는 수수께끼 같은 가르침과 숨겨진 비유적 의미를 전파하는 사람들이었다.[7]

2. 1. 어원

"비밀스러운"이라는 개념은 2세기 고대 그리스어 형용사 esôterikós|에소테리코스grc ("내부 집단에 속하는")에서 시작되었다. 이 단어는 1828년에 프랑스어 형태인 "ésotérisme"으로 처음 등장했다.[1]

2. 2. 철학적 용법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비전적(esoteric)"과 "외전적(exoteric)"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학자들이 비밀 유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 연구 및 교육 절차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첫 번째는 철학 학파의 "내부"에서 발전된 가르침을 위해 보존되었고, 두 번째는 연설과 출판을 통해 대중에게 배포된 작품을 가리킨다.[7]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신의 학교 밖에서 했던 연설을 언급하기 위해 "외전적 연설"(ἐξωτερικοὶ λόγοι|엑소테리코이 로고이grc)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7]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비전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적이 없으며, 그가 전문적인 비밀을 다루었다는 증거도 없다. 아울루스 겔리우스의 보고에 따르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오후에는 정치, 수사학, 윤리학의 외전적 주제를 일반 대중에게 공개했지만, 아침에는 "아크로아티카"(acroamatics)를 위해 남겨두었는데, 이는 학생들과 함께 산책하면서 가르쳤던 자연 철학과 논리학을 지칭하는 것이었다.[8][9]

플라톤은 자신의 제자들에게 구두로 내부 가르침을 전달했을 것이며, 튀빙겐 학파는 그의 책이나 공개 강연에서 전달된 명시적인 저술 가르침과는 구별되는, 첫 번째 원리에 관한 가상적인 "비전적" 내용을 특히 강조한다.[7][13] 신플라톤주의자들은 가르침, 신화, 텍스트 표면 아래에 숨겨진 "숨겨진 진실"을 찾기 위해 노력하여, 플라톤, 호메로스, 오르페우스 등의 해석학과 비유적 해석을 발전시켰다.[16]

3. 개념 발전

"서양 밀교"라는 개념은 17세기 후반, 여러 유럽 기독교 사상가들이 서양 철학과 사상의 특정 전통들을 함께 분류하면서 확립되었다. 이는 현대 학문적 구성물로, 원래 이러한 전통들이 반드시 함께 묶여 있다고 여겨지지는 않았다. 초기에는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 에레고트 다니엘 콜베르크가 르네상스 이후 등장한 다양한 사상 흐름들을 "플라톤-헤르메스 기독교"라는 범주로 분류하고 이단으로 규정했다. 18세기 계몽주의 시대에는 밀교 전통이 "미신", "마법", "오컬트" 등의 용어로 분류되며 학계에서 무시되었으나,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학자들은 이러한 전통들 사이의 구조적 유사성을 확인하고 "서양 밀교"라는 범주를 확립하였다. 서양 밀교의 정의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다양한 접근 방식이 존재한다.

3. 1. 다양한 정의

서양 밀교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마다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다.

일부 학자들은 서양 밀교를 모든 세계 종교와 문화의 핵심에 있는 보편적이고 비밀스러운 영적 전통의 한 변형으로 보았다. 이러한 관점은 서양 밀교를 숨겨진 밀교적 현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본다.[1] 이 정의는 후기 고대 시대에 비밀 영적 가르침을 특정 엘리트에게만 보존하고 대중에게는 숨겼던 원래 의미와 가장 가깝다.[1] A.E. 웨이트와 같은 19세기 밀교학자들이 이러한 정의를 대중화시켰으며,[2] 마르티니즘과 전통주의 학파를 포함한 여러 밀교 운동에서 대중적인 접근 방식이 되었다.[3]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보편적이고, 숨겨진, 밀교적 차원의 현실"이 있다는 믿음에 근거하고 있지만, 이러한 보편적 내부 전통의 존재는 과학적 연구를 통해 발견되지 않았다.[4] 한스 한느라프는 방법론적 불가지론에 기초하여 그러한 현실의 존재 여부는 "우리는 단순히 알 수 없고, 알 수 없다"라고 말하는 것이 더 낫다고 주장했다.[4] 또한, 모든 밀교적 흐름의 공통된 숨겨진 핵심을 찾는 접근 방식은 그러한 집단이 고유한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상호 배타적인 아이디어와 의제를 표현한다는 사실을 가린다는 문제점이 있다.[5]

마법사는 헤르메스 철학의 "위와 같으니, 아래도 같다"는 개념을 보여주는 타로 카드이다. 앙투안 파브르는 이 개념을 서양 밀교의 첫 번째 특징인 '상응'과 연결시켰다.


다른 학자들은 서양 밀교를 "탈마법화"된 근대 세계관과 대조되는, 마법을 포용하는 세계관으로 이해한다.[6] 이들은 서양 밀교가 도구적 인과관계에 대한 믿음을 피하고, 우주의 모든 부분이 인과적 사슬 없이 서로 관련되어 있다고 믿는 세계관을 포함한다고 본다.[6]

앙투안 파브르는 서양 밀교의 특징으로 다음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다.[7]

특징설명
상응우주 내의 모든 것들 사이에 실제적이고 상징적인 상응이 존재한다는 생각.[8] 거시 우주와 소우주의 밀교적 개념과 행성의 행동이 인간의 행동에 직접적인 상응 관계를 갖는다는 점성술적 아이디어가 그 예시이다.[9]
살아있는 자연자연 우주를 고유한 생명력으로 가득 찬 것으로 묘사하며, "복잡하고, 다원적이며, 계층적"으로 이해한다.[10]
상상력과 중재인간의 상상력과 "의례, 상징적 이미지, 만다라, 중간 영"과 같은 중재, 그리고 물질 세계와 신성 사이의 현실의 세계와 수준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로서의 만트라에 큰 비중을 둔다.[11]
변형의 경험밀교 수행을 통해 근본적으로 자신을 변화시키는 것, 예를 들어 영지주의의 획득에 수반되는 영적 변화를 강조한다.[12]
일치의 수행모든 세계 종교와 영적 수행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통일 원리 또는 근원이 있다는 믿음.[13]
전수입문 과정을 통해 스승으로부터 제자에게 밀교적 가르침과 비밀을 전수하는 것을 강조한다.[14]



파브르의 분류는 니콜라스 굿릭-클라크와 같은 학자들에게 지지를 받았으며,[15] 한동안 학계에서 서양 밀교의 "표준 정의"로 여겨졌다.[16] 그러나 코쿠 폰 슈트크라드는 파브르의 분류법이 르네상스 헤르메스주의, 기독교 카발라, 개신교 신지학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밀교에 대한 더 폭넓은 이해를 반영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17]

4. 역사

서양 밀교는 개인의 노력을 통해 영적 지식, 즉 '영지'를 얻는 것을 강조하는 서구적 형태의 영성으로, 인간이 존재의 신성한 측면에 직면하게 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5] 코쿠 폰 슈트라트는 밀교를 "더 높은 지식에 대한 주장"으로 보았으며, 이는 "우주와 역사에 대한 다른 해석보다 우월한 지혜"를 제공하고 인류의 모든 질문에 답하는 "마스터 키"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밀교 단체가 비밀 유지를 강조하는 것은 엘리트주의 때문이 아니라, 숨겨진 비밀을 드러낼 수 있다는 개념이 그들의 담론 중심에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폰 슈트라드는 밀교를 다양한 사상의 집합이라기보다는 "서구 문화의 구조적 요소"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4. 1. 고대 후기

헤르메스 트리메기스투스의 후대 삽화


서양 밀교의 기원은 후기 고대 시대 동안 로마 제국의 일부였던 헬레니즘 시대의 동부 지중해에 있다.[1] 이곳은 그리스, 이집트, 레반트, 바빌론, 페르시아의 종교적, 지적 전통이 혼합된 환경이었으며, 세계화, 도시화, 다문화주의가 사회 문화적 변화를 가져왔다.[2]

이 중 하나는 전설적인 이집트의 현자 헤르메스 트리메기스투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이집트 헬레니즘 학파인 헤르메스주의였다.[3] 2세기와 3세기에 헤르메스 트리메기스투스의 저작으로 여겨지는 여러 텍스트가 등장했는데, 여기에는 ''코르푸스 헤르메티쿰'', ''아스클레피우스'', ''여덟 번째와 아홉 번째 담론'' 등이 포함된다.[4] 일부 학자들은 헤르메스주의가 순전히 문학적 현상이었는지, 아니면 이러한 아이디어를 실천하는 공동체가 있었는지에 대해 여전히 논쟁을 벌이고 있지만, 이러한 텍스트는 신의 진정한 본질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인간이 구원을 찾고 비물질적 빛의 영적 몸으로 다시 태어나 신성과 영적으로 하나가 되기 위해서는 이성적 사고와 세속적 욕망을 초월해야 함을 강조한다.[5]

후기 고대 시대의 또 다른 밀교적 사상은 영지주의였다. 다양한 영지주의 분파가 존재했으며, 그들은 일반적으로 신성한 빛이 데미우르고스로 알려진 악의적인 존재에 의해 물질 세계에 갇혔다고 믿었다. 데미우르고스는 악마적인 조력자들인 아르콘의 도움을 받았다. 영지주의자들은 신성한 빛을 부여받은 사람들이 지노시스를 얻으려고 노력하여 물질 세계에서 벗어나 신성한 근원에 다시 합류해야 한다고 믿었다.[6]

후기 고대 시대의 세 번째 형태의 밀교는 철학자 플라톤의 사상에 영향을 받은 학파인 신플라톤주의였다. 플로티누스, 포르피리오스, 이얌블리쿠스, 프로클로스와 같은 인물들이 옹호한 신플라톤주의는 인간의 영혼이 신성한 기원에서 물질 세계로 떨어졌지만, 일련의 계층적 존재 영역을 거쳐 신성한 기원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7] 후기 신플라톤주의자들은 ''칼데아 신탁''과 같은 자료에서 증명된 의식 행위인 테우르기아를 수행했다. 학자들은 테우르기아가 정확히 무엇을 포함했는지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신들을 나타나게 하여 테우르기스트의 마음을 신성한 현실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설계된 실천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8]

4. 2. 중세 시대

로마 제국이 멸망한 후, 연금술[23]과 철학 등 전통의 여러 측면은 아랍 및 근동 세계에서 주로 보존되었으며, 유대인[24]시칠리아, 이탈리아 남부의 기독교인 및 무슬림 간의 문화적 교류를 통해 서유럽으로 다시 도입되었다. 12세기에는 이탈리아 남부와 중세 스페인에서 카발라가 발전했다.[25]

중세 시대에는 신지학기적을 위한 정교한 공식을 제공하는 마법서들이 출판되었다. 많은 마법서가 카발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이 시대의 연금술 관련 인물들도 마법서를 저술하거나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왈도파와 같이 이단으로 여겨졌던 중세 종파들은 난해한 개념들을 활용한 것으로 여겨졌다.[26][27]

4. 3. 르네상스 시대와 초기 근대

르네상스 시대에 많은 유럽 사상가들은 아랍 번역을 통해 얻은 이교 철학을 기독교 사상 및 유대교 카발라와 결합하기 시작했다.[25] 이 흐름의 선구자는 비잔틴 철학자 플레톤 (1355/60–1452?)으로, 그는 ''칼데아 신탁''이 고대 인류의 뛰어난 종교이며 플라톤주의자들에 의해 전해졌다고 주장했다.[26]

플레톤의 사상은 피렌체 통치자 코시모 데 메디치의 관심을 끌었고, 그는 마르실리오 피치노 (1433–1499)에게 플라톤 작품의 라틴어 번역을 맡겼다. 피치노는 다양한 플라톤주의자들의 작품을 번역, 출판하며 그들의 철학이 기독교와 양립 가능하다고 주장하여, 르네상스 플라톤주의 또는 플라톤 오리엔탈리즘 운동을 촉발시켰다.[26][27] 피치노는 ''헤르메스 문헌집''의 일부를 번역했고, 나머지는 로도비코 라차렐리 (1447–1500)가 번역했다.[27]

이러한 지적 환경에서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 (1463–1494)는 1486년 유럽 학자들을 초청하여 자신이 쓴 900개의 논제에 대해 토론하게 함으로써 명성을 얻었다. 그는 이 모든 철학이 거대한 보편적 지혜를 반영한다고 주장했으나, 교황 인노첸시오 8세는 이교와 유대교 사상을 기독교와 혼합하려 했다며 비판했다.[27][28]

피코 델라 미란돌라의 유대교 카발라에 대한 관심은 기독교 카발라의 발전을 이끌었다. 그의 연구는 요하네스 로이힐린 (1455–1522)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고, 그는 ''De Arte Cabalistica''를 저술했다.[28][29] 기독교 카발라는 하인리히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 (1486–1535/36)에 의해 확장되었으며, 그는 ''De occulta philosophia libri tres''에서 고대의 철학적, 과학적 전통을 탐구하기 위한 틀로 사용했다.[29] 코페르니쿠스의 주장에 따라 우주에 대한 더 정확한 이해가 확립되었고, 조르다노 브루노 (1548–1600)는 코페르니쿠스 이론을 밀교적 사상으로 채택했으나, 로마 가톨릭 교회에 의해 이단으로 간주되어 처형되었다.[30]

프리메이슨의 직각자와 콤파스


독일에서는 ''자연철학''이라는 밀교 사상이 발전했는데, 이는 후기 고대 및 중세 카발라 전통의 영향을 받았지만, 성경과 자연 세계를 권위의 두 가지 주요 원천으로 인정했다.[31] 이 접근법의 주요 옹호자는 파라켈수스 (1493/94–1541)였는데, 그는 연금술과 민속 마법에서 영감을 얻어 갈레노스의 사상에 기반한 주류 의료계에 반대하며 자연 세계 관찰을 통해 의학을 배우도록 촉구했다. 그의 연구는 이후 수세기 동안 상당한 지지를 얻었다.[30][31]

파라켈수스의 영향을 받은 야코프 뵈메 (1575–1624)는 악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통해 기독교 신지학 운동을 일으켰다. 뵈메는 하나님이 헤아릴 수 없는 신비인 ''웅그룬트''로부터 창조되었으며, 하나님 자신은 분노의 핵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빛과 사랑의 힘에 둘러싸여 있다고 주장했다.[32] 뵈메의 사상은 요한 게오르크 기텔의 암스테르담의 천사 형제단, 존 포데지와 제인 리드의 영국의 필라델피아 협회와 같은 소규모 종교 공동체의 기초를 형성했다.[32][33]

1614년부터 1616년까지 세 개의 ''장미십자 문서''가 독일에서 출판되었는데, 이들은 크리스찬 로젠크로이츠라는 인물에 의해 설립된 비밀 형제단을 대표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로젠크로이츠가 역사적 인물이었다는 증거는 없으며, 장미십자회가 존재했다는 증거도 없다. 대신 문서는 루터교 신학자 요한 발렌틴 안드레아 (1586–1654)의 문학적 창작물일 가능성이 높다. 이들은 대중의 관심을 끌었고, 여러 사람들이 자신을 "장미십자교도"라고 묘사하며 비밀스러운 밀교 지식에 접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33][34]

16세기 말 스코틀랜드에서 중세 석공 길드를 비장인들을 포함하도록 변형시켜 프리메이슨이 설립되었다. 곧 유럽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으며, 잉글랜드에서는 밀교적 특성을 대체로 거부하고 인본주의와 합리주의를 받아들였지만, 프랑스에서는 기독교 신지학에서 특히 새로운 밀교적 개념을 받아들였다.[35][36]

4. 4. 18세기, 19세기, 20세기 초



계몽주의 시대 유럽에서는 정부의 세속화가 심화되고, 현대 과학과 합리주의가 수용되면서 "현대적 오컬트"가 등장했다.[1] 이 시기 대표적인 비전주의자로는 에마누엘 스베덴보리(1688-1772)가 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환상을 경험한 후 과학과 종교의 조화를 시도했다. 그는 천국과 지옥을 여행하고 천사들과 소통했으며, 물질 세계와 영적 세계가 서로 대응하지만 인과 관계는 없다고 주장했다. 그의 사후 새 교회가 설립되었고, 그의 저술은 비전주의 철학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2]

프란츠 안톤 메스머(1734-1814)는 동물 자력설을 주장하며, 생명력이 인간을 포함한 모든 것을 관통하며 질병은 이 힘의 흐름이 막혀 발생한다고 보았다. 그는 막힘을 제거하여 건강을 회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3] 그의 추종자 마르키 드 퓌세규르는 메스머리 치료가 몽유병 상태를 유도하여 영적 존재와 소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

이러한 몽유병 최면 상태는 184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심령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심령주의는 강령회를 통해 사망한 영혼과 소통할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했다.[5] 앤드루 잭슨 데이비스(1826-1910)와 알랑 카르덱(1804-1869)은 심령주의에 기초한 신학적 세계관을 제시했다.[6] 심령주의에 대한 과학적 관심은 심령 연구 분야를 발전시켰다.[7] 몽유병은 초기 심리학과 정신 의학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20세기 정신분석학행동주의가 부상하면서 비전주의와 거리를 두게 되었다.[8]

피니어스 P. 킴비(1802-1866)는 정신이 물질을 지배한다는 믿음에 기반한 뉴 소트 운동을 시작하여, 믿음으로 질병 등을 치유할 수 있다고 보았다.[9]

엘리파스 레비의 오각형


유럽에서는 기독교와 과학 사이의 "제3의 길"을 모색하며 고대, 중세, 르네상스 비전주의에 기반한 ''오컬트'' 운동이 등장했다.[10] 프랑스에서는 1789년 혁명 이후 엘리파스 레비(1810-1875)와 파푸스(1865-1916) 등이 주목받았다.[11] 르네 게농(1886-1951)은 전통주의를 통해 현대성을 거부하고 보편적 전통을 옹호했다.[12]

영어권 세계에서는 계몽주의 자유주의의 영향을 받아 반기독교적 경향을 띠는 오컬트 운동이 나타났다. 엠마 하딩 브리튼(1823-1899)과 헬레나 블라바츠키(1831-1891) 등은 스베덴보리 이전의 흐름에서 영감을 얻었다. 블라바츠키는 ''베일 벗은 이시스''(1877)와 ''비밀 교리''(1888)를 저술하고, 1875년 신지학회를 공동 설립했다.[13] 이후 애니 베산트(1847-1933)와 찰스 웹스터 리드비터(1854-1934)는 지두 크리슈나무르티(1895-1986)를 메시아로 선포했으나, 루돌프 슈타이너(1861-1925)의 인간 지혜 학회가 분리되었다.[14]

19세기 후반, 파스칼 버벌리 랜드olph(1825-1875)는 성적 에너지와 정신 활성 약물을 마법에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5] 영국에서는 헤르메스 황금 새벽회가 설립되었고,[16] 알레이스터 크로울리(1875-1947)는 텔레마를 선포하고 오르도 템플리 오리엔티스의 멤버가 되었다.[17] 게오르기 구르지예프(1866-1949)와 P.D. 우스펜스키(1878-1947)는 마법을 수반하지 않는 비전주의 학파를 발전시켰다.[18]

20세기 초 서유럽에서는 오컬트 로지와 비밀 결사가 번성했다. 귀도 폰 리스트보탄주의와 카발라를 기반으로 한 신이교적, 민족주의적 아이디어를 퍼뜨렸다. 툴레 협회에는 카를 하러(독일 노동자당 창립자), 알프레드 로젠버그, 루돌프 헤스 등이 연관되었다.[19] 나치당은 오컬트주의자들을 박해했지만,[20] 하인리히 힘러는 칼 마리아 빌리구트를 영매로 활용했다.[21] 프라테르니타스 사투르니는 나치 정권에 의해 금지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었다.[22]

4. 5. 20세기 후반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비밀주의는 서구의 성장하는 반문화와 점점 더 연관되기 시작했으며, 추종자들은 자신들이 물병자리 시대를 기념하는 영적 혁명에 참여하고 있다고 이해했다.[34] 1980년대에 이르러 이러한 종말론적 경향은 뉴에이지 운동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사업가들이 영적 시장의 성장을 이용하면서 점점 더 상업화되었다.[34] 이와 반대로, 다른 형태의 비전적 사상은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반상업적이고 반문화적인 정서를 유지했는데, 이는 인류학자 카를로스 카스타네다의 작업을 바탕으로 테렌스 맥케나와 다니엘 핀치백과 같은 인물들이 주도한 테크노 샤머니즘 운동이 대표적이다.[34]

이러한 추세는 현대 이교주의의 증가와 함께 나타났으며, 이 운동은 처음에는 제럴드 가드너가 전파한 종교인 위카(Wicca)가 주도했다.[35] 위카는 스타호크를 비롯한 제2차 여성 운동의 구성원들에게 채택되었고, 여신 운동으로 발전했다.[35] 위카는 또한 이교 신드루이드교 및 기타 형태의 켈트 부흥 운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35] 위카에 대한 반응으로, 위카의 증가하는 가시성에 반대하며 전통 마법을 따르는 자칭 추종자들의 문헌과 집단도 등장했으며, 이들은 가드너가 제안한 체계보다 더 오래된 기원을 주장한다.[34] 20세기 후반 서구 오컬트에서 나타난 다른 경향으로는 사탄주의가 있으며, 사탄 교회(Church of Satan) 및 세트 사원(Temple of Set)과 같은 단체[35], 카오스 마법이 타나토스 일루미네이트(Illuminates of Thanateros) 단체를 통해 나타났다.[36]

위카(Wicca)의 뿔 달린 신 조각. 콘월(Cornwall) 보스캐슬(Boscastle)의 마법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990년대 초부터 구 철의 장막 내 국가들은 방사적이고 다양한 종교적 부흥을 겪었으며, 많은 수의 오컬트 및 새로운 종교 운동이 인기를 얻었다.[36] 영지주의 부흥론자, 뉴에이지 단체, 사이언톨로지 분파[37]는 소련 해체로 인한 문화적, 정치적 변화 이후 구 소련 블록의 많은 지역으로 진출했다.[38] 헝가리에서는 상당수의 시민들(해당 국가의 인구 규모에 비례하여 주변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이 서구 비밀주의의 새로운 흐름을 실천하거나 따른다.[36] 1997년 4월에는 제5회 비전적 영적 포럼이 이틀간 열렸으며 만석으로 진행되었고, 같은 해 8월에는 국제 샤먼 엑스포가 시작되어 생방송으로 방영되었으며, 결국 2개월 동안 진행되었는데, 다양한 신샤머니스트, 종말론자, 신비주의자, 신이교주의자, 심지어 UFO 종교의 신자들과 인물들이 참석했다.[36]

5. 학술 연구

서양 밀교에 대한 학술 연구는 20세기 초, 고대 세계와 유럽 르네상스 역사가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들은 기독교 이전 시대와 비합리적인 사상이 유럽 사회와 문화에 미친 영향을 학문적으로 조명해야 한다고 생각했다.[4] 런던의 워버그 연구소는 이 분야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프랜시스 예이츠, 에드가 윈드, 에른스트 카시러, D. P. 워커와 같은 학자들은 밀교 사상이 르네상스 문화에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4] 특히 예이츠의 1964년 저서 ''조르다노 브루노와 헤르메스 전통''은 "밀교에 대한 현대 학문의 중요한 시작점"으로 평가받으며, 밀교적 사상이 현대 과학에 미친 영향을 널리 알렸다.[3]

1965년, 앙리 코르뱅의 제안으로 파리 고등사범학교는 소르본에 밀교 연구 분야에서 세계 최초의 학술 직위를 개설했다. 초대 교수는 기독교 카발라 전문가인 프랑수아 시크레였으나, 그는 밀교 연구를 학문 분야로 발전시키는 데 큰 관심이 없었다. 1979년, 앙투안 파브르가 시크레의 뒤를 이어 소르본에서 교수가 되었고, "현대 및 동시대 유럽의 밀교 및 신비주의적 흐름의 역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파브르는 서양 밀교 연구를 공식적인 분야로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6] 그의 1992년 저서 ''L'ésotérisme''는 "서양 밀교 연구가 학술 연구 분야로 시작된 것"을 기념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2002년까지 이 직위에 있었으며, 장피에르 브라흐가 그의 뒤를 이었다.[3]

파브르는 이 분야를 확립하는 데 두 가지 중요한 장애물을 지적했다. 첫째는 학계 내에 밀교에 대한 뿌리 깊은 편견이 존재하여 밀교의 역사가 학술 연구의 가치가 없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었다는 것이다. 둘째는 밀교가 초학문적 분야여서 그 연구가 특정 학문 분야에 명확하게 들어맞지 않았다는 점이다. 하네그래프는 서양 밀교가 종교, 철학, 과학, 예술과 별개의 분야로 연구되어야 한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서양 밀교가 "이 모든 분야에 참여"하지만 그 어느 것에도 정확히 들어맞지 않기 때문이다.[1] 그는 또한 서양 밀교만큼 "인문학에서 그렇게 심각하게 소외된 다른 분야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1980년, 로버트 A. 맥더모트는 미국에 본부를 둔 헤르메스 아카데미를 설립하여 서양 밀교에 관심 있는 미국 학자들을 위한 창구를 마련했다. 1986년부터 1990년까지 헤르메스 아카데미 회원들은 미국 종교 학회의 연례 회의에서 "밀교 및 영원주의 그룹"이라는 주제로 패널에 참여했다. 1994년까지 파브르는 서양 밀교에 대한 학술 연구가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미국에서 시작되었지만, 독일에서는 그렇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1999년, 암스테르담 대학교는 하네그래프가 재직하는 ''헤르메스 철학 및 관련 흐름의 역사'' 교수를 설립했고,[3] 2005년에는 엑서터 대학교가 ''서양 밀교'' 교수를 신설했으며, 엑서터 밀교 연구 센터를 이끌던 굿릭-클라크가 이 자리를 맡았다.[3] 2008년에는 이 분야에 헌신하는 3개의 대학교 교수가 있었으며, 암스테르담과 엑서터는 석사 학위 프로그램도 제공했다.[3] 종교사 국제 학회 5년마다 열리는 회의에서 이 주제에 대한 여러 회의가 개최되었으며, 2001년에는 동료 심사를 거치는 저널인 ''Aries: 서양 밀교 연구 저널''이 발행되기 시작했다. 같은 해, 북미 밀교 연구 협회(ASE)가 설립되었고, 서양 밀교 연구 유럽 학회 (ESSWE)가 그 직후에 설립되었다.[6]

마이클 베르군더는 몇 년 안에 서양 밀교 연구가 종교 연구 내에서 확립된 분야가 되었다고 평가했으며,[9] 에길 아스프렘과 케네스 그란홀름은 종교 연구의 다른 하위 분야 학자들이 밀교 학자들의 연구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1]

아스프렘과 그란홀름은 밀교 연구가 역사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어 왔기 때문에 현대 밀교의 형태를 연구하는 사회 과학자들의 관점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은 이교 연구 및 새로운 종교 운동 연구 분야에서 활동하는 학자들과의 연계를 통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3] 2011년, 피아 브린제우와 죄르지 쇠니는 영문학도 이 학제간 분야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24년 9월, 엑서터 대학교는 마법, 오컬트, 그리고 밀교 문학의 역사를 탐구하는 마법 및 밀교 센터에서 [https://www.exeter.ac.uk/study/postgraduate/courses/arabislamic/magic-occult-science/#main-col 마법 및 오컬트 과학] 석사 학위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연구 주제에는 마녀사냥, 서양 밀교,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의 오컬트 텍스트, 유럽 민속, 그리스와 로마의 마법, 과학과 의학의 역사가 포함된다.

5. 1. 에믹(Emic)과 에틱(Etic) 구분

Wouter Hanegraaff는 종교 연구에 대한 에믹(Emic)과 에틱(Etic) 접근 방식의 구분을 따른다.[39] 에믹 접근 방식은 연금술사나 신지학자의 접근 방식이다. 에틱 접근 방식은 역사학자, 연구자로서 비판적인 관점을 가진 학자의 접근 방식이다. 비전 연구에 대한 실증 연구는 "에믹 자료와 에틱 해석"이 필요하다.

Arthur Versluis는 "상상적 참여"를 통해 비전에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39]

6. 대중문화

2013년, 아스프렘과 그란홀름은 "현대의 밀교는 대중문화와 뉴미디어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점점 더 밀접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1]

그란홀름은 밀교적 아이디어와 이미지가 서양 대중 매체의 여러 측면에 나타난다고 언급하며, 《뱀파이어 해결사》, 《아바타》, 《헬블레이저》, 《암흑물질 3부작》 등을 예시로 들었다.[2] 그는 밀교와 밀교를 차용하는 문화의 비(非)밀교적 요소 사이의 구분을 짓는 데 있어 이 분야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다. 익스트림 메탈을 예로 들며, "진정한 오컬트"를 다루는 예술가와 오컬트적 주제와 미학을 피상적으로 언급하는 예술가를 구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언급했다.[3]

오컬트적 주제에 관심이 있는 작가들은 이 주제를 다루기 위해 세 가지 전략을 채택했다. 오컬트에 대해 잘 알고 작품에 오컬트와 오컬티스트의 매력적인 이미지를 포함하는 부류, "상호 텍스트성의 그물" 속에 오컬티즘을 숨기는 부류, 그리고 오컬트에 반대하고 해체하려는 부류가 있다.[4]

참조

[1] 서적 Religion and Anthropology: A Critical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Wiley Blackwell Companion to the Study of Religion Wiley 2024-08-12
[3] 학술지 The Ritual Dimension of Western Esotericism: The Rebirth Motif and the Transformation of Human Consciousness https://www.academia[...] 2020-07-21
[4] harvnb
[5] 학술지 The Emergence of "Esoteric" as a Comparative Category https://www.academia[...] 2023-07-20
[6] harvnb
[7] 서적 The Other Plato: The Tübingen Interpretation of Plato's Inner-Academic Teaching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2-12-11
[8] 서적 The Politic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0-02-15
[9] 서적 Early Modern Aristotelianism and the Making of Philosophical Disciplines: Metaphysics, Ethics and Politic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0-05-14
[10] 학술지 ''Exoterikoi Logoi'' and ''Enkyklioi Logoi'' in the Corpus Aristotelicum and the Origin of the Idea of the Enkyklios Paideia https://www.jstor.or[...] 2023-07-03
[11] 서적 History of Ancient Greek Scholarship: From the Beginnings to the End of the Byzantine Age BRILL 2020-06-15
[12] 서적 The Reception of Aristotle's 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12-13
[13] 학술지 Plato's Enigmatic Lecture 'On the Good' https://www.jstor.or[...] 2021-04-21
[14] 서적 History of Ancient Philosophy II, A: Plato and Aristotle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0-11-08
[15] 학술지 Some Remarks on the Meaning of Esotericism and Plato's Unwritten Doctrines https://www.research[...] 2018-04
[16] 서적 Secrecy and Concealment: Studies in the History of Mediterranean and Near Eastern Religions BRILL 2018-11-13
[17] 서적 Ancient Myst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8] 서적 Hidden Wisdom: Esoteric Traditions and the Roots of Christian Mysticism BRILL 2005
[19] 학술지 From the Esoteric to the Exoteric and Back Again: Themes from Antiquity to Post-Modernity https://openjournals[...] 2008-09-19
[20] 서적 Christian Teachers in Second-Century Rome: Schools and Students in the Ancient City https://books.google[...] BRILL 2020-06-29
[21] harvnb
[22] harvnb
[23] 학술지 Alkimia Operativa and Alkimia Speculativa. Some Modern Controversies on the Historiography of Alchemy https://philpapers.o[...] 2019-11-06
[24] 학술지 An Alchemical Treatise Attributed to Joseph Solomon Delmedigo 2013
[25] 학술지 Arte separatoria e hijos del arte en las prácticas y representaciones de Diego de Santiago (Sevilla, 1598) y el lugar de España en el Esoterismo Occidental https://dialnet.unir[...] 2019-11-06
[26] 서적 An Encyclopaedia of Occultism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2023-01-26
[27] 서적 Pacifism in Britain, 1914–1945: The Defining of a Faith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23-01-26
[28] 서적 Atlantis and the Cycles of Time: Prophecies, Traditions, and Occult Revelations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0
[29] 학술지 From Egyptian Science to Victorian Magic: On the Origins of Chemistry in Victorian Histories of Science 2017
[30] 웹사이트 Thule-Gesellschaft http://www.historisc[...]
[31] 서적 The Occult Roots of Nazism https://books.google[...] Tauris Parke Paperbacks
[32] 서적 Dictionary of Gnosis and Western Esotericism Brill
[33] 서적 Fire & Ice: The History, Structure and Rituals of Germany's Most Influential Modern Magical Order: The Brotherhood of Saturn Llewellyn
[34] 학술지 Robert Cochrane and the Gardnerian Craft: Feuds, Secrets, and Mysteries in Contemporary British Witchcraft
[35] 서적 Dictionary of Gnosis and Western Esotericism Brill
[36] 서적 Perennialism and iconoclasm. Chaos magick and the legitimacy of innovation Equinox Publishing
[37] MA Independent Scientology: How Ron's Org and Dror Center schismed out of the Church of Scientology https://munin.uit.no[...] University of Tromsø 2015-11-01
[38] 서적 New religious movements in changing Russi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5-22
[39] 간행물 Methods in the Study of Esotericism, Part II: Mysticism and the Study of Esotericism Michigan State Univers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